모니터 버닝 증상
모니터 화면이 정상으로 출력되다가 갑자기 초록색·빨간색·파란색·하얀색이
순환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으로서 원인과 해결 방법 및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하겠습니다.
모니터 버닝 증상 원인
그래픽카드(GPU)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할 때에
새로 설치 수행에 체크를 한 상태로 설치를 진행하게 되면 모니터 버닝 증상이 나타납니다.
모니터 버닝 증상 해결 방법
엔비디아 지포스 익스피리언스로 그래픽카드(GPU) 드라이브를 업데이트 할 때에
새로 설치 수행에 체크를 해제하고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모니터 버닝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만약, 새로 설치 수행에 체크를 한 상태에서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그래픽카드(GPU) 드라이버가
업데이트 완료되는 단계에서 모니터 버닝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새로 설치 수행에 체크하고 그래픽카드(GPU) 드라이버를 업데이트 하는 중에
모니터 버닝 증상이 발생하였다면 모니터의 전원 버튼을 껐다 켜기 보다는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뽑았다가 다시 끼우거나 콘센트에 연결된
모니터 전원 코드를 뺏다가 다시 꼽으면 모니터 버닝 증상은 해결이 됩니다.
만약, 포맷 도중에 모니터 버닝 증상이 발생하였다면
콘센트 코드 혹은 모니터 전원선을 뺏다가 꼽아도 해결이 안될 수 있으므로
그런 경우에는 PC를 다시 포맷하여 Windows를 새로 설치해야 합니다.
간혹, 재부팅을 통해서 증상이 해결되는 경우도 있지만 재부팅 후에도 Windows 도입 부에서
모니터 버닝 증상이 발생한다면 마찬가지로 PC를 포맷해야 합니다.
PC를 포맷하면 드라이버가 초기 버전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모니터 버닝 증상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 버닝 증상 예방 안내
PC의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할 때에도 순서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메인보드 관련 드라이버를 먼저 업데이트하고 그 다음에 CPU관련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고 마지막으로 그래픽카드(GPU)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는 것입니다.
다만, 위의 순서에 상관없이 그래픽카드(GPU) 드라이버를 먼저 업데이트한다 하더라도
모니터 버닝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상관은 없습니다.
엔비디아 지포스 익스피리언스로 그래픽카드(GPU)를 업데이트 할 때에
새로 설치 수행에 체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그래픽카드(GPU) 업데이트를 진행하시면
모니터 버닝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위에서 앞서 안내해드린 바와 같이 새로 설치 수행에 체크한 상태에서
그래픽카드(GPU) 업데이트를 진행하였다면 그래픽카드(GPU) 드라이버가 제거되고
새로 설치되어 적용되는 단계에서 모니터 버닝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때에는 모니터 전원선을 뺏다가 다시 끼우거나
콘센트에 꼽혀져 있는 모니터 전원선 코드를 뺏다가 다시 꼽으면 모니터 버닝 증상이 해결됩니다.
참고 사항
모니터 버닝 증상은 그래픽 카드 업데이트 시, 새로 설치 수행을 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나타나는 증상이며 모니터 전원선 분리 후 재결합 혹은 콘센트에 결합되어 있는
모니터 전원선 코드를 분리 후 재결합하여 모니터 버닝 증상을 해결하면
향후, 그래픽카드(GPU) 업데이트 시에 새로 설치 수행을 하지 않는 이상
일상 사용 시에는 따로 모니터 버닝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슈퍼파워2(SP2) 세이브 파일 경로 안내 (스팀 에디션 포함) (0) | 2023.12.06 |
---|---|
Windows 10 키보드 키가 따로따로 입력될 때 해결 방법 안내 (0) | 2023.11.26 |
워게이밍넷 계정을 스팀 계정에 연동하는 방법 안내 (0) | 2023.11.13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연합군 교전 교리 방침 (0) | 2023.11.11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미군 다대다 빌드 가이드 (0) | 2023.11.07 |